백내장과 녹내장의 특징과 치료법 비교 분석

MAZENTA

Updated on:

백내장 녹내장 정의

디지털 기기 사용이 급증하고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안과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중장년층에서 발병률이 증가하는 백내장과 녹내장은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시력 보존의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두 질환은 발생 메커니즘과 진행 양상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데, 백내장이 수정체 혼탁으로 인한 가역적 시력 저하를 특징으로 한다면 녹내장은 시신경 손상으로 인한 비가역적 시야 결손이 주요 특징이다. 이에 각 질환의 특성과 치료 접근법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가역적 비가역적 무슨 뜻? >

백내장 녹내장 정의

백내장 녹내장 정의

발병 기전

백내장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빛이 망막에 정상적으로 도달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노화 현상이 주된 원인으로 꼽히며, 60대 이상 인구의 절반 이상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물리적 충격, 당뇨병 합병증, 과도한 자외선 노출 등이 발병 요인으로 지목된다.

녹내장의 경우 안구 내 압력 상승으로 시신경 섬유가 점진적으로 손상되는 진행성 안질환이다. 유전적 소인과 혈류 순환 장애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특이하게도 전체 환자의 70-80%는 정상 범위의 안압에서도 발병하는 정상안압녹내장으로 분류된다.



백내장 녹내장 위험비교

주요 위험 인자 비교표

구분백내장녹내장
발병 원인수정체 단백질 변성과 혼탁안구액 배출 경로 폐쇄
취약 계층노년층, 당뇨병 환자고혈압 환자, 근시
진행 기간수개월에서 수년 소요수개월에서 수십 년 지속
유전 영향제한적 영향강한 유전적 요인

증상 차이

백내장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시력 저하, 눈부심 현상, 색감 인지 능력 저하 등이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야간 운전 시 마주 오는 차량의 전조등 주변에 후광이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며, 대다수 환자에서 양쪽 눈의 진행 속도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녹내장은 전체 환자의 90%를 차지하는 개방각 녹내장의 경우 서서히 주변 시야부터 손실되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 폐쇄각 녹내장은 극심한 안구 통증, 구토 증상, 급격한 시력 저하를 동반하며 응급 처치가 필요하다. 만성 녹내장의 경우 환자가 자각하지 못한 채 말기까지 진행되어 연간 15% 정도에서 단안 실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주요 임상 증상 정리

  • 백내장 주요 증상
  • 점진적인 시력 저하와 흐림
  • 빛 번짐과 눈부심 증가
  • 색상 구분력 감소
  • 돋보기 도수 잦은 변경 필요
  • 녹내장 주요 증상
  • 주변부 시야 결손
  • 안압 상승과 두통
  • 안구 충혈과 통증
  • 야간 시력 저하



진단 및 치료법

백내장 진단은 세극등현미경을 통해 수정체의 혼탁도를 정밀하게 관찰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일상생활에 支장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인공수정체 이식 수술이 권장되며, 95% 이상의 높은 성공률을 보인다. 수술 후 대부분의 환자가 0.5 이상의 시력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내장 치료의 핵심은 안압 관리에 있다. 1차 치료제로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점안액이 처방되며, 약물 치료와 더불어 레이저 섬유주성형술이 시행된다. 레이저 시술의 효과는 5-10년 정도 지속되며, 여과 수술을 통해 안구액 배출로를 확보하는 방법도 활용된다. 약물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초음파유화술과 병행하여 수술적 접근이 고려된다.


예방 전략

자외선 차단 안경 착용은 백내장 발병 위험을 34% 가량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기저질환 관리도 중요하다. 녹내장의 경우 40세 이후 정기적인 안압 검진이 조기 발견률을 60%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안압을 2-3mmHg 낮추는 효과가 있다.

금연은 산화스트레스를 45% 감소시키고, 오메가-3 지방산 섭취는 안구 혈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질환 모두 조기 발견이 예후를 좌우하므로, 50세 이후에는 2년 주기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내장은 수술적 치료로 시력 회복이 가능하지만, 녹내장으로 인한 시신경 손상은 복구가 불가능하므로 예방과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

Leave a Comment